***성냄과 인욕(忍辱)***
사람들은 탐냄(貪). 성냄(瞋).
어리석음(痴)의 세가지 독약(三毒)에 의해 죽어갑니다.
불보살의 세계로 들어가는 방법인
육바라밀도
바로 우리 중생들 속에 있는 탐.진.치 삼독심을
다스려서 없애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성내는 마음은 우리를 죽게 하는 삼독의 하나이지요.
보통 우리에게는 성을 안내고 산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존경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누구든지 성을 안 내고 살면 좋다는 것은
상식으로 알고 있지요.
어쩌다 성내는 자신의 얼굴을 거울에 비춰보게
되면
자신도 그 모습이 아주 보기 싫지요.
아마도 여간 괴팍한 성질이 아니라면
성낸 얼굴을 좋아할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성냄의 해악은 사람뿐 아니라
짐승의 경우에서도 뚜렷이 보입니다.
예를 들어 닭을 보세요.
그 닭이 아무리
싸움닭이라도 처음에
그냥 붙여 놓을 때는 싸우지 않습니다.
그런데 곁에서 자주 성을 돋우면
이 놈이 어리석어서 정작 화를
돋우며
뒤에서 조정하는 사람은 잊고,
눈 앞에 있는 닭과 맞붙어 벼슬에서
피가 나도록 싸우지요. 또 일단
그렇게
싸울 때는 아무리 힘으로 떼어놓으려 해도
계속 싸우기 때문에 결국 둘 다
모두 크게 다치거나 죽게 되지요.
이것이야 말로
진심이라는 독약이 아니겠어요?
밤이나 도토리를 먹고 사는 다람쥐의 경우를 보세요.
자기들이 모아둔 밤이나 도토리 같은 것을
누군가가 치워 안 보이게 하면
다람쥐는
그만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어 그 자리에서
파르르 떨다가 죽어버린 답니다.
탐심에 의해 성냄이 커져서 그런
것이지요.
사실 며칠 굶는다고 죽지는 않을 텐데도 그래요.
또 찾아서 먹으면 될 텐데 탐심과 성냄 때문에
그런 생각을
못하고 어리석게 죽어 가거든요.
아마 사람의 경우에도 이런 일을
종종 보셨을 테지요. 경상도 사람인데
일제 때 일본군에서 일을 했거든요.
그런데 그
사람이 관목을 한 트럭 싣고
부대로 가던 도중에 일본이 항복하여
광복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어요.
그러자 그 사람은
관목을 실은 채
곧장 자기 집으로 트럭을 몰고 갔습니다.
그래서 차가 하나 생긴 것이었지요.
마침 차를 살 사람이 있어서
잘 되었다고
생각하여 팔아 현금으로 바꾸었지요.
공짜로 생긴 차로 돈을 번 셈이지요.
그런데 문제는 차를 판지 얼마 안
되어
차 값이 몇 배 씩이나 올랐다는 것입니다.
억울해 하던 그 사람은 그만 화가 치밀어
울화병이 들고, 결국엔 그 병으로
죽어버린
웃지 못할 일이 있었지요. 이런 일들이
모두 탐심에 죽고, 성냄에 죽고,
어리석음에 죽는 것이지요.
탐심이 크면 성냄도 크고 성냄이 크면
어리석음도 커서 허망하게 자신을
죽음으로 몰고 가게 된답니다.
그래서 이것을
탐(貪). 진(瞋). 치(痴)
삼독(三毒)이라고 합니다.
가만히 살펴보면 크고 작은 차이는 있을지언정
탐.진.치 삼독이 우리 생활에 얼마나
많은 화(禍)와 해(害)를 불러
일으키는지 알 수 있지요.
탐.진.치 삼독은 연쇄적으로 얽혀 해독을 낳는데,
우리가 만일 그중 한 가지 성냄만 안 일으키고 살아도
수행은 저절로 된다고 하겠지요.
그럴 수만 있다면 건강에도 좋고 말입니다.
성을 많이 내는 사람치고 건강한 사람은 없지요.
성을 잘 내면 특히 간경화증이 생깁니다.
왜냐하면 성을 많이 내면 화낸
기운이
간을 스치게 되지요. 한두 번은 잘 모르지만
오래 지나면 간이 굳어지는 경화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성을 안 내는
사람은 항상 봄바람 같이
편안하고 화평합니다.
참선을 오랫동안 잘 했던 백운선사에 대한
이야기 하나 하겠습니다. 스님은 여러 해 동안
참선을 익숙히 해서 화를 전혀 안
냈어요.
이름이 있는 선지식이라 법회 때면
수백 명의 신도들이 모이곤 했습니다.
그런데 하루는 믿음이 돈독한 산 신도가
성난 얼굴로 갓난아기를 안고 와서는
스님께 욕설을 하면서 그 아이를
키우라며 맡기고 갔어요.
신도들은 그동안 계율을
잘 지키는 분이라고
스님을 존경하고 있었는데 그 광경을 보고
참 기가 막혔거든요. 신도들이 실망하고 의아해 하는데도
스님은
아무 변명도 없었고 표정도 담담하셨어요.
그러자 대부분의 신도들은 그 동안의 신심이 싹 가셔서
침을 뱉고 돌아서 버리고 스님을
철저히 따르는
몇몇의 신도만 남았어요. 그래도 스님은
얼굴 하나 찡그리지 않고 아기를 받아 안으셨고
배고파 우는 아기의
배를 채워주고자
손수 아기를 안고 마을을 돌아다니며 젖을 얻어 먹였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 스님을 고약하게 여겨 멸시하였지만,
아기야 무슨 잘못이 있는가 하여
아기 기르는 아주머니 들은 젖을 물려주었어요.
스님께서는 그렇게 멸시 속에 젖동냥을
3년 동안 해서 그 아기를 키웠어요.
그런데 그 아이는 어찌된 아이인가 하면,
바로 그 아기를 맡긴 신도의 딸이
낳은 아이였고 아이 아빠는
그녀가 좋아하던 마을의 총각이었지요.
그런데 옛날에는
처녀가 아기를 낳는 일이 있으면
그 집안의 명예가 더러워진다고 해서
어떤 양반집에서는 산모를 죽이기도 했거든요.
그러니 그
딸의 생각에 부모의 꾸중도 두렵고
아기의 안전도 걱정되어 부모가 가장 신봉하는 스님께
맡기게 되면 우선은 화를 면할 듯해서
그런 얕은 생각을 하게 된 것이지요.
스님께서 3년을 그렇게 갖은 고생을 다 하면서
사방으로 돌아다니며 젖동냥으로 아기를 키우는 동안
그녀는 가만히 생각해 보니
참으로
자신이 몹쓸 짓을 했다 싶거든요.
그리고 아기 아버지도 따로 있고 하니
평생을 그렇게 놓아둘 수도 없었지요.
그래서 부모님께 사실대로 고백하게 됐습니다.
사실을 알게된 부모들은 기가 막혔지요.
황급히 스님께 달려가 백배 사죄를
했습니다.
그리고 아기를 찾아가려 하니 이번에도
스님은 두 말 않고 아무 일도 없었던 듯
아기를 돌려주셨어요.
욕먹고 아기를 맡게 될 때나,
절 받으며 아기를 돌려 줄때나 그 태도가 똑같았답니다.
그것이 참 보통 사람에게는 어려운
일이지요.
그러나 참선을 해서 내 마음을 밝히면
그런 경계가 어렵지 않지요.
칭찬과 비방은 허공의 빈 메아리와 같음을 알기 때문입니다.
불생불멸의 마음자리는 칭찬한다고 해서
더해지는 것도 아니고,
천하가 헐뜯는다고 해서
더렵혀지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알기 때문입니다.
참선을 하여 삼독심을 다스리면 이렇듯
흔들림이 없는 삶을 살게 되지요.
이처럼 실제 생활에 도움을 주는 것이야말로
참선 수행의 의미이니 불자는 꾸준히 익혀
무슨 일에든 맑은 정신을 갖고 대할 수 있어야겠습니다.
-서암스님의 [소리 없는 소리]중에서
김도향/산사명상음악: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