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연 12월 24일의 성공적인 흥남부두의 피난민 철수작전을....! !
우리국민들은 6.25전쟁의 긴박한 상황속에서
북한의 함경남도 흥남부두에서 있었듣 10여만여명의 성공적인
피난민 대 철수작전을 잊어서는 안될것입니다
자유를 찾아 탈북하려는 10만여명의 피란민들을
12월25일 월드피스자유연합(이사장 안재철)이 부산역광장에서
“휴머니즘의 회상 : 흥남철수작전. 장진호전투 사진전”을 진행하고 있다.
이 전시는 6.25전쟁 당시인 흥남철수와 장진호전투 사진과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을 지원한 세계 67개국의 국기를 관람할 수 있다.
6.25전쟁 당시인 1950년 11월 27일 ~ 1950년 12월 24일,
한반도 북동부에서 있었던 장진호전투와 흥남철수작전을 기억하게 하는
이번 사진전은 2014년 1월 13일까지 진행되며,
당시에 북한피란민이 몰려온 부산진역 인근의 부산역광장에서 진행하여,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사진=월드피스자유연합 제공)

▲ 사진은 장진호전투 (1950년 11월 27일 ~ 1950년 12월 11일).

▲ 사진은 장진호전투 (1950년 11월 27일 ~ 1950년 12월 11일).

▲ 사진은 장진호전투 (1950년 11월 27일 ~ 1950년 12월 11일).


▲ 사진은 철수하는 장진호전투부대 (1950년 11월 27일 ~ 1950년 12월 11일)▼


피란민들이 흥남부두로 몰려 오고 있다

피난민들을 수송하기 위해 수많은 군수물자를 하역 야적하고 있다(군수품은 부두 철수시 폭파시켜 사용불능케 했다)


장진호전투에서 전사한 유엔군들의 영결장면이다(이들은 고국으로 가지 못했을것이다)

운 좋게 배에 승선한 피난민들(그들의 미래는 암담했다)

운 좋게 배에 승선한 피난민들(그들의 미래는 암담했다)

전선에서 용케 살아남은 유엔군들이 승선하기 위해 부두로 집결하고 있다

피난민 철수를 위해 하역 야적한 군수물자와 부두시설을 폭파하고 있다

자유를 갈망하며 필사적으로 탈출하려는 피난민의 인파

두사람의 피난민이 필사적으로 그물사다리를 오르고 있다(오르다가 떨어 사망한 사람들 많았다고 함)

신속한 북진으로 통일의 부픈 꿈에 부플었던 유엔군은 예상치 못했던
100만 중공군의 개입으로 전황이 불리해진 유엔군은 38도선 이남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북동부 전선의 장진호전투에 참가한 미 해병 1사단, 미 육군 7사단
31연대전투단 병사들뿐 아니라 영국 해병 41특공대, 한국인 카투사 병사들과,
대한민국 경찰들은 중공군의 게리라전법에 의한 포위공격으로
험한 산악지역의 눈덮힌 포위망을 뚫고 철수하느라 막대한 병력의
손실과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일자: 1950년 12월 9일./뉴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