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을 장미의 계절이라고들 하던가. 그래 그런지 얼마 전 가까이 있는 보육원에 들렀더니 꽃가지마다 6월로 향해 발돋움을 하고 있었다. 몇 그루를 얻어다 우리 방 앞뜰에 심었다. 단조롭던 뜰에 생기가 돌았다. 아침저녁으로 물을 주노라면 모차르트의 청렬(淸冽)같은 것이 옷깃에 스며들었다. 산그늘이 내릴 때처럼 아늑한 즐거움이었다.

  ​오늘 아침 개화!

   마침내 우주의 질서가 열린 것이다. 생명의 신비 앞에 서니 가슴이 뛰었다. 혼자서 보기가 아까웠다. 언젠가 접어 두었던 기억이 펼쳐졌다.

   출판일로 서울에 올라와 안국동 선학원에 잠시 머무르고 있을 때였다. 어느 날 아침 전화가 걸려 왔다. 삼청동에 있는 한 스님한테서 속히 와 달라는 것이다. 무슨 일이냐고 하니 와서 보면 알 테니 어서 오라는 것이었다. 그 길로 허둥지둥 직행. 거기 화단 가득히 양귀비가 피어 있었다.

  ​그것은 경이였다. 그것은 하나의 발견이었다. 꽃이 그토록 아름다운 것인 줄은 그때까지 정말 알지 못했다. 가까이 서기조차 조심스러운 애처롭도록 연약한 꽃잎이며 안개가 서린 듯 몽롱한 잎 새, 그리고 환상적인 그 줄기가 나를 온통 사로잡았다. 아름다움이란 떨림이요 기쁨이라는 사실을 실감했다.

  ​이때부터 누가 무슨 꽃이 가장 아름답더냐고 간혹 소녀적인 물음을 해오면 언하(言下)에 양귀비꽃이라고 대답을 한다. 이 대답처럼 분명하고 자신만만한 확답은 없을 것이다. 그것은 절절한 체험이었기 때문이다. 하필 마약의 꽃이냐고 핀잔을 받으면, 아름다움에는 마력이 따르는 법이라고 응수를 한다. 뭘 안다고….

   이런 이야기를 우리 장미꽃이 들으면 좀 섭섭해할지 모르지만, 그것은 그해 여름 아침 비로소 찾아낸 아름다움이었다. 그렇다 하더라도 내게는 오늘 아침에 문을 연 장미꽃이 그 많은 꽃 가운데 하나일 수 없다. 꽃가게 같은 데 피어 있을 그런 장미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 꽃에는 내 손길과 마음이 배어 있기 때문이다. 생 떽쥐페리의 표현을 빌린다면 내가 내 장미꽃을 위해 보낸 시간 때문에 내 장미꽃이 그토록 소중하게 된 것이다. 그건 내가 물을 주어 기른 꽃이니까, 내가 벌레를 잡아 준 것이 그 장미꽃이니까.

  ​흙 속에 묻힌 한 줄기 나무에서 빛깔과 향기를 지닌 꽃이 피어난다는 것은 일대 사건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사건이야말로 이 ‘순수한 모순’이야말로 나의 왕국에서는 호외(號外)감이 되고도 남을 만한 일이다.
 
1970. 6. 3
글출처 : 영혼의 母音(법정스님, 샘터)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