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의 글 - 법정스님께서 남기신 글을 올립니다.
글 수 295
도서명 | 오두막 편지 |
---|
새벽에 비 내리는 소리를 듣고 잠에서 깨어났다. 머리맡에 소곤소곤 다가서는 저 부드러운 발자국 소리. 개울물 소리에 실려 조용히 내리는 빗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으면 살아 있는 우주의 맥박을 느낄 수 있다.
새벽에 내리는 빗소리에서 나는 우주의 호흡이 내 자신의 숨결과 서로 이어지고 있음을 감지한다. 그 무엇에도 방해받지 않는 자연의 소리는, 늘 들어도 시끄럽거나 무리ㅛ하지 않고 우리 마음을 그윽하게 한다.
사람이 흙을 일구며 농사를 짓고 살던 시절에는 이와 같은 자연의 소리를 들으면서 그 질서 안에서 넘치지 않고 순박하게 살 수 있었다. 작은 것에 만족하고 적은 것에도 고마워했다. 남이 가진 것을 시샘하거나 넘보지도 않았다. 자기 분수에 만족하면서 논밭을 가꾸듯 자신의 삶을 묵묵히 가꾸어 나갔다.
그러나 물질과 경제를 ‘사람’보다도 중요시 하고 우선시하는 요즘 세상에서는, 농사를 짓는 사람들까지도 대부분 예전 같은 감성과 덕성을 지니고 있지 않다. 농사도 이제는 기업으로 여겨 먼저 수지타산을 따져야 하기 때문이다. 논밭을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신성한 생명의 터전으로 여기기보다는 생산과 효용의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을 뿐이다.
흙을 가까이하면서도 흙이 지니고 있는 그 덕성과 생명의 질서를 몸에 익히지 못하는 것은, 흙한테 죄송하고 또한 흙의 은혜를 저버리는 일이기도 하다.
좁은 땅덩이에 인구는 불어나 어쩔 수 없이 양계장처럼 켜켜이 올려놓은 아파트라는 주거형태는, 우선을 편리하겠지만 인간의 본질과 장래를 생각할 때 결코 이상적인 주거공간은 못 된다. 그 같은 주거공간에는 생명의 근원인 흙이 없다. 허공에 매달려 추상적이고 관념적으로 살아가는 생태이므로 인간생활이 건강할 수 없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사람은 흙에서 멀어질수록 병원과 가까워진다.
우리에게는 각자가 짊어지고 있는 상황이 있다. 좋건 싫건 그 상황 아래서 살아가지 않을 수 없다. 자신의 뜻은 보다 단순하고 소박하게 살고 싶은데, 주변의 상황은 그렇게 살기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게 아닌데 아닌데 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끌려가면서 나는 일이 허다하다.
물론 그와 같은 상황은 자기 자신이 순간순간의 삶을 통해서 그렇게 만들어 놓은 것이고 개인의 집합체인 사회가 또 한 그런 흐름을 이루어 놓은 것이다.
이를 다른 용어로 표현하자면, 우리들의 삶은 ‘업(業)의 놀음’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상황을 별업(別業)이라 하고, 사회적인 상황을 공업(共業)이라고 한다.
우리 둘레가 온통 부정부패와 검은 돈의 거래로 들끓고 있는 요즘의 현실을 지켜보면서, 우리 시대가 저지른 업의 놀음을 실감하게 된다. 탐욕이 생사윤회의 근본 요인이라는 말도 있지만, 모두 분수 밖의 욕심 때문에 나라꼴이 이 지경에 이른 것이다.
끼니를 이을 수 없을 만큼 가난한 처지라면 이해도 가지만, 다들 번쩍거리면서 살 만큼 사는 사람들이 검은 돈에 놀아나고 있으니, ‘사과상자’의 위력이 무엇이기에 이 모양 이 꼴인가. 자기 분수와 명예를 목숨처럼 지키면서 꿋꿋하게 살았던 우리 선인들의 선비 정신을 생각하면, 돈의 노예로 전락해 버린 그 후손인 우리의 설 자리는 과연 어디일까 싶다.
알퐁스 도데를 기억하는가. 남프랑스 프로방스ㅡ이 한 양치기의 아름다운 이야기, <별>을 쓴 작가를. 아를르 역전에서 버스를 타고 한 10여 분 달리면 퐁비에이라는 시골마을이다. 버스에서 내려 다박솔이 듬성듬성한 메마른 언덕을 올라가면 정상에 작은 풍차집이 하나 있다. 알퐁소 도데가 1866년경 <풍차 방앗간 소식>의 연작을 썼던 곳이 바로 여기다. 지금은 ‘도데 기념관’으로 쓰이고 있는데, 론 강 언저리에서 불어오는 서북풍(미스트랄)으로 풍차를 돌려 밀을 빻던 방앗간이다.
오늘 소개하려는 이야기, ‘황금의 뇌를 가진 사나이’도 도데가 이곳에서 쓴 것이다. 이야기는 이와 같이 이어진다.
옛날에 머릿속이 온통 황금으로 된 사나이가 있었다. 그가 세상에 태어났을 때, 의사들은 그 아이가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이의 머리가 이상하리만큼 크고 무거웠기 때문이다.
어느 날 그는 계단에서 굴러 떨어져 대리석 층계에 이마를 세게 부딪친다. 순간 그의 머릿속에서 쇠붙이가 덜거덕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부모가 놀라서 뛰어와 아이를 일으켜보니 큰 상처는 없었지만 머리카락 사이에 삐죽이 황금 부스러기가 나와 있는 걸 보고, 그 아이가 황금으로 된 뇌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비로소 알게 된다.
이날부터 부모는 아이를 누가 유괴해 갈까 봐 밖에 나다니지 못하게 한다. 아이가 자라서 열여덟 살이 되었을 때에야 부모는 그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던 비밀을 알려준다. 그러면서 너를 키우느라고 애간장을 태웠으니 그에 대한 보답으로 머릿속의 황금을 조금만 나누어줄 수 없겠느냐고 한다. 아이는 선뜻 호두알 크기만한 황금덩어리를 자신의 두개골에서 떼어내어 어머니에게 드린다.
그는 이때부터 머릿속에 들어 있는 값비싼 황금에 정신이 팔려 이 황금이면 세상에서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을 거라고 자만하게 된다. 그는 황금을 마구 낭비하면서 왕족처럼 사치스럽게 살아간다. 뇌 속의 황금은 방탕한 생활로 인해 자꾸 줄어들고, 못된 찬구에게 도둑맞기도 한다. 그러다가 마침내 골속이 다 비어 인생을 제대로 살아보지도 못한 채 죽음에 이르게 된다.
이 이야기는 다음과 같이 끝을 맺고 있다.
‘세상에는 하찮은 것을 위해 자신의 소중한 황금을 마구 낭비하는 불쌍한 사람들이 많다. 그 하찮은 것들로 인해 그들은 하루하루를 고통 속에 살다가 처참한 죽음을 맞이한다.’
자신의 좋은 특성과 잠재력으로 상징되는, 당신이 지닌 그 황금은 무엇인가? 소중한 그 황금을 혹시나 하찮은 일에 탕진하고 있지는 않는가?
글출처 : 오두막 편지(法頂 스님, 이레) 中에서......
새벽에 내리는 빗소리에서 나는 우주의 호흡이 내 자신의 숨결과 서로 이어지고 있음을 감지한다. 그 무엇에도 방해받지 않는 자연의 소리는, 늘 들어도 시끄럽거나 무리ㅛ하지 않고 우리 마음을 그윽하게 한다.
사람이 흙을 일구며 농사를 짓고 살던 시절에는 이와 같은 자연의 소리를 들으면서 그 질서 안에서 넘치지 않고 순박하게 살 수 있었다. 작은 것에 만족하고 적은 것에도 고마워했다. 남이 가진 것을 시샘하거나 넘보지도 않았다. 자기 분수에 만족하면서 논밭을 가꾸듯 자신의 삶을 묵묵히 가꾸어 나갔다.
그러나 물질과 경제를 ‘사람’보다도 중요시 하고 우선시하는 요즘 세상에서는, 농사를 짓는 사람들까지도 대부분 예전 같은 감성과 덕성을 지니고 있지 않다. 농사도 이제는 기업으로 여겨 먼저 수지타산을 따져야 하기 때문이다. 논밭을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신성한 생명의 터전으로 여기기보다는 생산과 효용의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을 뿐이다.
흙을 가까이하면서도 흙이 지니고 있는 그 덕성과 생명의 질서를 몸에 익히지 못하는 것은, 흙한테 죄송하고 또한 흙의 은혜를 저버리는 일이기도 하다.
좁은 땅덩이에 인구는 불어나 어쩔 수 없이 양계장처럼 켜켜이 올려놓은 아파트라는 주거형태는, 우선을 편리하겠지만 인간의 본질과 장래를 생각할 때 결코 이상적인 주거공간은 못 된다. 그 같은 주거공간에는 생명의 근원인 흙이 없다. 허공에 매달려 추상적이고 관념적으로 살아가는 생태이므로 인간생활이 건강할 수 없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사람은 흙에서 멀어질수록 병원과 가까워진다.
우리에게는 각자가 짊어지고 있는 상황이 있다. 좋건 싫건 그 상황 아래서 살아가지 않을 수 없다. 자신의 뜻은 보다 단순하고 소박하게 살고 싶은데, 주변의 상황은 그렇게 살기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게 아닌데 아닌데 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끌려가면서 나는 일이 허다하다.
물론 그와 같은 상황은 자기 자신이 순간순간의 삶을 통해서 그렇게 만들어 놓은 것이고 개인의 집합체인 사회가 또 한 그런 흐름을 이루어 놓은 것이다.
이를 다른 용어로 표현하자면, 우리들의 삶은 ‘업(業)의 놀음’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상황을 별업(別業)이라 하고, 사회적인 상황을 공업(共業)이라고 한다.
우리 둘레가 온통 부정부패와 검은 돈의 거래로 들끓고 있는 요즘의 현실을 지켜보면서, 우리 시대가 저지른 업의 놀음을 실감하게 된다. 탐욕이 생사윤회의 근본 요인이라는 말도 있지만, 모두 분수 밖의 욕심 때문에 나라꼴이 이 지경에 이른 것이다.
끼니를 이을 수 없을 만큼 가난한 처지라면 이해도 가지만, 다들 번쩍거리면서 살 만큼 사는 사람들이 검은 돈에 놀아나고 있으니, ‘사과상자’의 위력이 무엇이기에 이 모양 이 꼴인가. 자기 분수와 명예를 목숨처럼 지키면서 꿋꿋하게 살았던 우리 선인들의 선비 정신을 생각하면, 돈의 노예로 전락해 버린 그 후손인 우리의 설 자리는 과연 어디일까 싶다.
알퐁스 도데를 기억하는가. 남프랑스 프로방스ㅡ이 한 양치기의 아름다운 이야기, <별>을 쓴 작가를. 아를르 역전에서 버스를 타고 한 10여 분 달리면 퐁비에이라는 시골마을이다. 버스에서 내려 다박솔이 듬성듬성한 메마른 언덕을 올라가면 정상에 작은 풍차집이 하나 있다. 알퐁소 도데가 1866년경 <풍차 방앗간 소식>의 연작을 썼던 곳이 바로 여기다. 지금은 ‘도데 기념관’으로 쓰이고 있는데, 론 강 언저리에서 불어오는 서북풍(미스트랄)으로 풍차를 돌려 밀을 빻던 방앗간이다.
오늘 소개하려는 이야기, ‘황금의 뇌를 가진 사나이’도 도데가 이곳에서 쓴 것이다. 이야기는 이와 같이 이어진다.
옛날에 머릿속이 온통 황금으로 된 사나이가 있었다. 그가 세상에 태어났을 때, 의사들은 그 아이가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이의 머리가 이상하리만큼 크고 무거웠기 때문이다.
어느 날 그는 계단에서 굴러 떨어져 대리석 층계에 이마를 세게 부딪친다. 순간 그의 머릿속에서 쇠붙이가 덜거덕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부모가 놀라서 뛰어와 아이를 일으켜보니 큰 상처는 없었지만 머리카락 사이에 삐죽이 황금 부스러기가 나와 있는 걸 보고, 그 아이가 황금으로 된 뇌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비로소 알게 된다.
이날부터 부모는 아이를 누가 유괴해 갈까 봐 밖에 나다니지 못하게 한다. 아이가 자라서 열여덟 살이 되었을 때에야 부모는 그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던 비밀을 알려준다. 그러면서 너를 키우느라고 애간장을 태웠으니 그에 대한 보답으로 머릿속의 황금을 조금만 나누어줄 수 없겠느냐고 한다. 아이는 선뜻 호두알 크기만한 황금덩어리를 자신의 두개골에서 떼어내어 어머니에게 드린다.
그는 이때부터 머릿속에 들어 있는 값비싼 황금에 정신이 팔려 이 황금이면 세상에서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을 거라고 자만하게 된다. 그는 황금을 마구 낭비하면서 왕족처럼 사치스럽게 살아간다. 뇌 속의 황금은 방탕한 생활로 인해 자꾸 줄어들고, 못된 찬구에게 도둑맞기도 한다. 그러다가 마침내 골속이 다 비어 인생을 제대로 살아보지도 못한 채 죽음에 이르게 된다.
이 이야기는 다음과 같이 끝을 맺고 있다.
‘세상에는 하찮은 것을 위해 자신의 소중한 황금을 마구 낭비하는 불쌍한 사람들이 많다. 그 하찮은 것들로 인해 그들은 하루하루를 고통 속에 살다가 처참한 죽음을 맞이한다.’
자신의 좋은 특성과 잠재력으로 상징되는, 당신이 지닌 그 황금은 무엇인가? 소중한 그 황금을 혹시나 하찮은 일에 탕진하고 있지는 않는가?
글출처 : 오두막 편지(法頂 스님, 이레)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