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옛 추억의 사진을 올리는 공간
글 수 385
![]() ![]() ![]() '깡통 분유' '악수표 밀가루'의 추억 이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는 것은 공법480에 따라 1956년부터 우리나라에 제공된 구호물자다. 정식명칭은 미국 공법480호 농업수출진흥 및 원조법인데, 미국의 농산물 가격 유지와 저개발국 식량부족 완화를 위해 잉여농산물을 각국에 제공할 수 있게 한 법이다. 당장의 배고픔을 면하는 데는 밀가루가 최고였으니 '480 밀가루', '악수표 밀가루' 등으로 수제비 만들어 먹던 그 시절을 기억하는 세대에게 수제비는 별식이 아니라 배고픔의 상징이다. ![]() 성석제 소설 '아름다운 날들'에 따르면 성당과 구호물자의 관계도 각별했다. 선진국 종교기관에서 보내준 구호물자도 많았던 것. "그 무렵 눈이 파란 신부님이 태어난 나라 사람들이 안 쓰고 못 쓰는 물건들을 모아서 성당으로 보내주었답니다. 그걸 구호물자라고 했지요.…성당에 가면 버터 깡통도 주고 깡통 초콜릿도 주고 분유 깡통도 주었으며 깡통 사탕도 나눠주었습니다." 공법480에 따른 구호물자 지원은 1981년에 종료되었고, 우리나라는 해외에 구호물자를 보내줄 수 있는 형편이 된지 오래다. 그러나 국제구호전문가 한비야가 2005년에 지적한 다음 사항은 얼마나 개선됐을까? "우리가 원조 받은 액수는 총 130억 달러 정도이고, 지금까지 원조한 총액은 약 22억 달러다. 갚아야 할 은혜의 빚이 이렇게 많은데도 우리는 국민 총소득의 0.06퍼센트, 1인당 한 달에 4백 원 정도를 원조금으로 내고 있다.…한국의 위상과 국력에 걸맞으려면 최소한 0.1퍼센트로는 올려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글 : 김동식·문학평론가(인하대 교수) | 일러스트레이션 : 박광수 ![]() 출처 : 조선일보 2008.08.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