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화(李相和)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지금은 남의 땅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 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워라. 말을 해 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 자국도 섰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쁘게 나가자.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 매던 그 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진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웃어웁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말세의 희탄 저녁의 피묻은 동굴 속으로 아, 밑 없는 그 동굴 속으로 끝도 모르고 끝도 모르고 나는 거꾸러지련다. 나는 파묻히련다. 가을의 병든 미풍의 품에다 아, 꿈꾸는 미풍의 품에다 낮도 모르고 밤도 모르고 나는 술취한 몸을 세우련다. 나는 속 아픈 웃음을 빚으련다. 나의 침실로 마돈나! 지금은 밤도 모든 목거지에 다니노라. 피곤하여 돌아가련도다. 아, 너도 먼 동이 트기 전으로 수밀도의 네 가슴에 이슬이 맺도록 달려 오너라. 마돈나! 오려무나, 네 집에서 눈으로 유전하던 진주는 다 두고 몸만 오너라. 빨리 가자. 우리는 밝음이 오면 어딘지 모르게 숨는 두 별이어라. 마돈나! 구석지고도 어둔 마음의 거리에서 나는 두려워 떨며 기다리노라. 아, 어느 덧 첫닭이 울고 - 뭇 개가 짖도다. 나의 아씨여, 너도 듣느냐. 마돈나! 지난 밤이 새도록 내 손수 닦아 둔 침실로 가자, 침실로! 낡은 달은 빠지려는데, 내 귀가 듣는 발자국 - 오, 너의 것이냐 ? 마돈나! 짧은 심지를 더우 잡고, 눈물도 없이 하소연하는 내 마음의 촛불을 봐라. 양털 같은 바람결에도 질식이 되어 얕푸른 연기로 꺼지려는도다. 마돈나! 오너라, 가자. 앞산 그리매가 도깨비처럼 발도 없이 이곳 가까이 오도다. 아, 행여나 누가 볼는지 - 가슴이 뛰누나,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마돈나! 날이 새련다. 빨리 오려므나. 사원의 쇠북이 우리를 비웃기 전에 네 손이 내 목을 안아라. 우리도 이 밤과 같이 오랜 나라로 가고 말자. 마돈나! 뉘우침과 두려움의 외나무다리 건너 있는 내 침실, 열 이도 없으니 ! 아, 바람이 불도다. 그와 같이 가볍게 오려므나, 나의 아씨여, 네가 오느냐 ? 마돈나! 가엾어라. 나는 미치고 말았는가. 없는 소리를 내 귀가 들음은 내 몸에 피란 피 - 가슴의 샘이 말라 버린 듯 마음과 몸이 타려는도다. 마돈나! 언젠들 안 갈 수 있으랴. 갈 테면 우리가 가자, 끄을려 가지 말고 ! 너는 내 말을 믿는 마리아 - 내 침실이 부활의 동굴임을 네가 알련만 마돈나! 밤이 주는 꿈, 우리가 얽는 꿈, 사람이 안고 궁그는 목숨의 꿈이 다르지 않느니, 아, 어린애 가슴처럼 세월 모르는 나의 침실로 가자 아름답고 오랜 거기로. 마돈나! 별들의 웃음도 흐려지려 하고, 어둔 밤 물결도 잦아지려는도다. 아, 안개가 사라지기 전으로 네가 와야지.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1901∼1943. 시인.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무량(無量),백아(白啞), 경상북도 대구출신 아버지는 시우(時雨)이며 어머니는 김신자(金愼子)이다 7세에 아버지를 잃고 14세까지 가정 사숙에서 큰아버지 일우(一雨)의 훈도를 받으며 수학하였다 18세에 경성중앙학교(지금의 중동중학교)3년을 수료하고 강원도 금강산일대를 방랑하였다 1922년 파리 유학을 목적으로 일본 동경의 아테네프랑세에서 2년간 프랑스어와 프랑스문학을 공부하다가 동경대지진을 겪고 귀국하였다 친구 백기만(白基萬)의 '상화(尙火)와 고월(古月)'에 의하면 1917년 대구에서 현진건(玄鎭健) 백기만 이상백(李相栢)과 '거화 炬火'를 프린트판으로 내면서 시작활동(詩作活動)을 하였다 21세에는 현진건의 소개로 박종화(朴鍾和)를 만나 홍사용(洪思容) 나도향(羅稻香),박영희(朴英熙) 등과 함께 '백조 白潮' 동인이 되어 본격적인 문단활동을 시작하였다 1919년 3.1운동 때에는 백기만 등과 함께 대구학생봉기를 주도하였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또한 김기진(金基鎭) 등과 함께 1925년 파스큘라(Paskyula)라는 문학연구단체 조직에 가담하였으며 그해 8월에는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창립회원으로 참여하였다 1927년에는 의열단(義烈團) 이종암(李鍾巖)사건에 연루되어 구금되기도 하였다 1934년에는 조선일보 경상북도총국을 경영하였다가 1년 만에 실패하였다 1937년 3월에는 장군인 형 이상정(李相定)을 만나러 만경(滿京)에 3개월간 갔다와서 일본관헌에게 구금되었다가 11월말경 석방되었다 그뒤 3년간 대구 교남학교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권투부를 창설하기도 하였다 그의 나이 40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독서와 연구에 몰두하여 '춘향전'을 영역하고 '국문학사','불란서시정석'등을 시도하였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43세에 위암으로 죽었다 문단데뷔는 '백조'동인으로서 그 창간호에 발표한 1922년 '말세의 희탄(?嘆),단조(單調)를 비롯하여 1922년 '가을의 풍경' 1923년 '이중(二重)의 사망' 1923년 '나의 침실로' 로 이름을 떨쳤다 백조파 동인의 한 사람이면서 동시에 그 한계를 뛰어넘은 시인으로 방자한 낭만과 미숙성과 사회개혁과 일제에의 저항과 우월감에 가득한 계몽주의와 로맨틱한 혁명사상을 외쳤던 문학사적 의의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시비는 1946년 동향인 김소운(金素雲)의 발의로 대구 달성공원에 세워졌다. ♬ Spirit Path - ERA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