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사람들 - 세상의 좋은 이야기들을 모은 곳
글 수 3,287

-
목마(木馬)와 숙녀
한 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와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
목마는 주인을 버리고 거저 방울 소리만 울리며
가을 속으로 떠났다 술병에서 별이 떨어진다.
상심한 별은 내 가슴에 가볍게 부서진다.
그러면 잠시 내가 알던 소녀는
정원의 초목 옆에서 자라고
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
사랑의 진리마저 애증의 그림자를 버릴 때
목마를 탄 사랑의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세월은 가고 오는 것
한 때는 고립을 피하여 시들어 가고
이제 우리는 작별하여야 한다.
술병이 바람에 쓰러지는 소리를 들으며
눍은 여류 작가의 눈을 바라다 보아야 한다.
등대 불이 보이지 않아도
그저 간직한 페시미즘의 미래를 위하여
우리는 처량한 목마 소리를 기억하여야 한다.
모든 것이 떠나든 죽든
그저 가슴에 남은 희미한 의식을 붙잡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서러운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두 개의 바위틈을 지나 청춘을 찾은 뱀과 같이
눈을 뜨고 한 잔의 술을 마셔야 한다.
인생은 외롭지도 않고
그저 잡지의 표지처럼 통속하거늘
한탄할 그 무엇이 무서워서 우리는 떠나는 것일까
목마는 하늘에 있고
방울 소리는 귓전에 철렁거리는데
가을 바람 소리는
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세월이 가면 . 박인환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네.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사랑은 가고 옛날은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 벤취 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지금 그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네.
내 서늘한 가슴에 있네.
검은 강 . 박인환
신(神)이란 이름으로써
우리는 최후의 노정(路程)을 찾아보았다.
어느 날 역전에서 들려 오는
군대의 합창을 귀에 받으며
우리는 죽으로 가는 자와는
반대 방향의 열차에 앉아
정욕처럼 피폐한 소설에 눈을 흘겼다.
지금 바람처럼 교차하는 지대
거기엔 일제의 불순한 욕망이 반사되고
농부의 아들은 표정도 없이
폭음과 초연이 가득 찬 생과 사의 경지에 떠난다.
달은 정막(靜幕)보다도 더욱 처량하다.
멀리 우리의 시선을 집중한
인간의 피로 이룬 자유의 성채(城砦)
그것은 우리와 같이 퇴각하는 자와는 관련이 없다.
신이란 이름으로써
우리는 저 달 속에
암담한 검은 강이 흐르는 것을 보았다.


2009.08.24 10:32:09 (*.197.251.1)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네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사랑은 가도 옛날은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 벤치 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내 서늘한 가슴에 있네
디금 박인희가 부르는 이 노래 코^ 사랑의 애창곡
♪^ 세월이 가면(박인환 작시, 이진섭 작곡,)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에는
재미있는 일화가 숨어있다.
9·28 수복 이후에 피란갔던 문인들이 서울로 돌아왔을 때
시인 朴寅煥 등을 비롯한 한 떼의 친구들은 명동에 둥지를 틀었다. 폐허가 된 명동에도
하나 둘 술집이 들어서고, 식당이 들어서서 사람 사는 냄새가 풍겨나게 되었다.
당시 탤런트 崔佛岩(최불암)의 모친은 「銀星(은성)」이란 술집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박인환 등이 밀린 외상값을 갚지도 않은 채 연거푸 술을 요구하자
술값부터 먼저 갚으라고 요구했다. 이때 박인환이 잠시 무언가를 생각하다가 갑자기 펜을 들고
종이에다 황급히 써내려 가기 시작했다.
그것은 바로 「은성」 주인의 슬픈 과거에 관한 시적 표현이었다.
작품이 완성되자 朴寅煥은 즉시 옆에 있던 작곡가 李眞燮(이진섭)에게 작곡을 부탁하였고,
가까운 곳에서 술을 마시고 있던 가수 현인을 불러다 노래를 부르게 했다.
모든 것이 바로 그 술집 안에서 한 순간에 이루어졌다.
이 노래를 듣던 「은성」주인은 기어이 눈물을 펑펑 쏟고 말았다.
밀린 외상값은 안 갚아도 좋으니 제발 그 노래만은 부르지 말아달라고 도리어 애원하기까지 하였다.
이 일화는 이른바 「명동백작」으로 불리던 소설가 李鳳九(이봉구)의 단편 「명동」에 나오는 이야기다.
ㅎㅎㅎ
그 때 그시절 사람사는 내음 물씬 풍기던 그시절의 문학을
씨리즈로 엮어 가르킴 주시랴 애 쓰시는 나의 사랑 深淵님께 감사드리는 마음으로
그 때 그시절 멋스런 일화 한토막을 덧 붙여 봅나다^^*
- 필 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