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의 글 - 법정스님께서 남기신 글을 올립니다.
글 수 295
도서명 | 영혼의 母音 |
---|
그 어떤 상황 아래서건 우리들이 살아가는 데에는 여러 가지 지식이 필요하다. 조상 대대로 물려 내려온 전답을 팔아서까지 고등교육을 받는 것도, 비싼 달러들 들여 해외 유학을 하는 것도 그러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다. 지식인이어야 인간의 대접을 받고 무식인(無識人)은 이하의 냉대를 받아야 하는 것이 또한 이 세상의 드러나 풍습이다. 그래서 가짜 박사학위까지도 받아가면서 지식인 행세를 하려고 든다.
그럼 인간을 형성하고 있는 본질적인 요소는 지식일까“ 물론 그런 것만은 아닐 것이다. 대개의 지식인을 보면 입으로는 저 혼자 잘난 채 떠벌여대지만, 막상 어떤 현실 앞에서는 찍소리 못하고 자라목처럼 움츠러들지 않는가. 지식이 살아 움직이는 현실 앞에 적용할 수 없는 것이라면 그게 뭐 그리 대단한 것일까. 그런데도 어떤 부류들은 정치 권력 쪽으로 향한 끝없는 아부에도 불구하고 자기를 불러주지 않는다고 노상 불평이다.
지식은 따지고 보면 하나의 분별에 지나지 않는 것. 우리가 많이 안다는 것은 그만큼 분별 망상이 많다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과다한 지식이나 정보가 때로는 인간을 매몰시킨다. 지식이 무표정한 기호처럼 거래될 경우 거기에는 인간의 뜰이 없다. 현대인들은 접촉의 과소에서가 아니라 오히려 그 과다에서 소외감을 갖게 된다.
그러고 보면 인간을 형성하고 있는 본질적인 요소는 지식이 아니라 지혜일 것이다. 지식이 차디찬 회색의 이론이라면 지혜는 고동하는 더운 심장이요 움직이는 손발이다. 지식은 사랑과 무연(無緣)하지만, 지혜의 안쪽을 뒤져보면 사랑으로 넘쳐 있다. 그러기 때문에 슬기로운 사람은 현실 속에서 살아 움직이지 않을 수 없다.
지식이 그 본래의 구실을 다하려면 지혜에로까지 심화되지 않으면 안 된다. 지혜에서 비로소 신념이 생기고 용기와 행동이 따르게 마련이다. 창백한 지식인, 언행이 같지 않은 지식인이 소외감을 가지는 것은 지식이 지혜에로 심화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지식은 악지식이지 결코 선지식은 아니다.
오늘날 우리에게 진정으로 아쉬운 것은 저명한 지식인의 ‘이론’이 아니라, 신념과 용기를 가지고 행동하는 지혜로운 선지식이다.
그럼 인간을 형성하고 있는 본질적인 요소는 지식일까“ 물론 그런 것만은 아닐 것이다. 대개의 지식인을 보면 입으로는 저 혼자 잘난 채 떠벌여대지만, 막상 어떤 현실 앞에서는 찍소리 못하고 자라목처럼 움츠러들지 않는가. 지식이 살아 움직이는 현실 앞에 적용할 수 없는 것이라면 그게 뭐 그리 대단한 것일까. 그런데도 어떤 부류들은 정치 권력 쪽으로 향한 끝없는 아부에도 불구하고 자기를 불러주지 않는다고 노상 불평이다.
지식은 따지고 보면 하나의 분별에 지나지 않는 것. 우리가 많이 안다는 것은 그만큼 분별 망상이 많다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과다한 지식이나 정보가 때로는 인간을 매몰시킨다. 지식이 무표정한 기호처럼 거래될 경우 거기에는 인간의 뜰이 없다. 현대인들은 접촉의 과소에서가 아니라 오히려 그 과다에서 소외감을 갖게 된다.
그러고 보면 인간을 형성하고 있는 본질적인 요소는 지식이 아니라 지혜일 것이다. 지식이 차디찬 회색의 이론이라면 지혜는 고동하는 더운 심장이요 움직이는 손발이다. 지식은 사랑과 무연(無緣)하지만, 지혜의 안쪽을 뒤져보면 사랑으로 넘쳐 있다. 그러기 때문에 슬기로운 사람은 현실 속에서 살아 움직이지 않을 수 없다.
지식이 그 본래의 구실을 다하려면 지혜에로까지 심화되지 않으면 안 된다. 지혜에서 비로소 신념이 생기고 용기와 행동이 따르게 마련이다. 창백한 지식인, 언행이 같지 않은 지식인이 소외감을 가지는 것은 지식이 지혜에로 심화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지식은 악지식이지 결코 선지식은 아니다.
오늘날 우리에게 진정으로 아쉬운 것은 저명한 지식인의 ‘이론’이 아니라, 신념과 용기를 가지고 행동하는 지혜로운 선지식이다.
1971. 12. 23.
글출처 : 영혼의 母音(법정스님, 샘터)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