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옛 추억의 사진을 올리는 공간
◈§ 미국이 보관중인 조선시대사진에의 초대 §◈
▲1880년대 당시의 남대문
2가에 세운 "화신 백화점" "삼성 종로타워"가 들어섰다. (レ-トクレ-ム) 화장품 세로 광고탑 전력확보를 위해 건설이 개시되었다. 부터 80 km지점의 한만국경(현재는 중.북 국경). 총공비는 약 5억엔이다. 신칸센 건설 규모에 필적하는 금액이었다) 기업인 조선질소비료 (현재의 질소/日チッソ-칫소) 가 부담했다. 발전소(발전 능력 60만 kW)와 함께 준공했다. 280만 kW와 비교해도 그 크기는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능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전기(현재의 토시바)에서 제조를 맡았으며 건설(間組, 西松建設)이 했다. 5기를 약탈해 갔다. 이리티슈 카와카미류의 댐에서 확인되었다. 견고했었기 때문에 파괴를 면했다. 현역으로 활동 중에 있다. 도안으로 되어 있으며 뒷면에 수풍댐의 사진이 그려져 있다. 선룸무도가 崔承喜의 모습 ""(Victor) 세로 간판이 보인다. 걸려 있다. 황실가족 사진. 덕수궁 대한문(대안문) 앞은 백성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고종황제가 승하했다. 전국으로 퍼져 3.1운동의 기폭제가 된다. 광복절 특집 '고종황제, 진실을 파헤친다. 고종 독살에 관한 새로운 자료가 제시되었다. 구라토미의 일기. 지시에 의한 독살이었음을 암시하는 중요한 내용이 담겨 있다. 나 있었다. 식혜로 알려져 왔는데, 라며 "현대 법의학을 통해 무엇 때문이었을까. 해외에 독립을 호소하려는 것을 감행하였음을 암시하고 있다. 망명할 계획을 진행하고 있었다. 여사와 진왕자가 탄생했을 때의 영친왕 부부. 황족 출신 이방자(李方子) 여사
▲ 1880년대의 남대문 중앙로
조선시대의 길거리를 가운데 두고 늘어선 초가집
▲ "Namdaemun"(Great South Gate in Seoul) Date: 1904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Willard Dickerman Straight
▲ 1931년 박흥식(朴興植)이 서울 종로(鍾路)
당시 한국의 랜드마크적인 존재로 일세를 풍미했다.
화신백화점은 1987년에 문을 닫았고
1988년 재개발 사업으로 철거되어
1999년 그 자리에는 미국 건축가 설계로
▲ 1935년 서울 남대문
왼족의 상업은행과 오른쪽 중앙 "레토크림"
오른쪽 "기린맥주"(キリンビ-ル) 가로 광고
▲ 평양에서 영업중인 왕복 노면전차 -운임 5전-
▲ 1942년 흥남공업 도시
조선 질소비료공장 . 일본 마그네슘 . 조선광업 등
▲ 수풍 댐 수력 발전소
일제 강점기인 1937년에 만주국과 조선의
건설된 것은 압록강하류의 평안북도 신의주로
담수면적은 일본 비와코의 거의 반에 상당해
(이 금액은 동경에서 시모노세끼를 잇는
그 비용은 당시 한반도에서도 일대 중화학
태평양전쟁이 한참인 1944년 3월에 수풍수력
이 발전 규모는 당시의 세계 최대급이며
1940년 당시의 일본내의 수력 발전 규모가
7기의 발전기는 각각 약 10만 kW의 발전
이것은 당시 세계 최대급의 능력이며
설비제조를 수주한 회사는 동경시바우라
시공업자는 일본 하자마구미와 니시마쯔
Hazama Corporation and Nishimatsu Construction Co., Ltd.
▲ 한국전쟁 당시인 1945년 8월 9일
소련군이 침공하여 총 7기의 발전기중
약탈된 발전기는 카자흐스탄 공화국,
한국 전쟁중에 뇌격을 포함한
미군기의 공격을 받았지만 댐 구조가 워낙
전후에 북한은
발전 능력을 증강해 이 댐 덕에 부흥했다.
준공으로부터 60년 이상 경과한 현재도
댐 본체는 큰 개수 공사를 하지 않고
사족(蛇足) :
북한의 국장에는 이 댐을 디자인한
또 2009년 북한 중안은행발행 5원권 지폐
▲ 1940년 당시 조선을 대표하는 호텔 "조선호텔"
▲ 당시 번화가 명동의 모습
오른쪽 모자쓴 남성뒤로 "빅터 SP 레코드
그리고 간판 위쪽에는 레코드 판 광고판이
< 누가 고종황제를 죽였는가? >
▲ 대한제국 황궁인 덕수궁 석조전에서 촬영한
왼쪽부터 영친왕, 순종, 고종황제, 순정효황후, 덕혜옹주
▲ 라스트 프린세스 덕혜옹주(1912∼1989)
▲ 1897년10월12일 고종의 황제 즉위를 축하하는
▲ 고종황제의 장례행렬
1919년 1월21일 덕수궁 함녕전에서
갑작스런 그의 죽음을 둘러싼 독살설은
KBS 1TV '역사스페셜'은 15일 오후 8시
그 죽음의 진실'을 통해 고종황제 독살설의
최근 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에 의해
그가 찾은 것은 당시 일본 궁내성 관리
거기에는 고종황제의 죽음이 일본의
기록에 의하면 고종의 시신 상태는 처참했다.
팔다리가 심하게 부어올라 바지를 찢어야만 했고,
이가 빠져 있고 혀가 닳아져 있었다.
또한, 30㎝가량의 검은 줄이 목에서 복부까지
제작진은 "고종이 마지막으로 먹은 음식은
고종은 정말 식혜를 마시고 죽은 것일까"
고종황제의 구체적 사인을 추적한다"고 밝혔다.
1919년은 한일강제병합이 일어난 지 10년 뒤이고,
고종도 이미 퇴위한 상태였다.
그럼에도 고종 독살설이 강력하게 떠오른 것은
구라토미의 일기는 일본이 고종황제가
미리 알고 막으려다 여의치 않자 독살을
또한, 고종은 이회영을 통해 중국으로
▲ 1919년 19살의 영친왕비 이방자(1901~1989)
▲ 덕수궁 석조전에서 영친왕(가운데)의 모습
▲ 영친왕비 이방자(1901~1989) 여사의 일본친정 가족 사진
Archive : 한일 친선에 생애를 바친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