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2024. 11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Counter
  • 전체 : 115,246,289
    오늘 : 0
    어제 : 3

    ◆한글 자음이름

    book_blue.gif  적절한 문장 부호 사용법 2   ♣ 문장 부호 [쉼표(休止符) - 가운뎃점(·)]   

    쉼표(休止符) - 가운뎃점(·)은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냅니다.

    (1)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에 씁니다.
         -
    시장에 가서 사과·배·감, 마늘·양파·고추, 조기·명태·고등어를 샀다.

    (2)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씁니다.
         - 3·1운동
        8·15광복

    (3)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씁니다.
        -
    동사·형용사를 합하여 용언이라고 한다.
     

    ♣ 문장 부호 [쉼표(休止符) - 쌍점(:) ]  

    쉼표(休止符) - 쌍점(:)은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내포되는 종류를 들 때에 씁니다.
         -
    문방사우 : 붓, 먹, 벼루, 종이

    (2) 소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이 붙을 때에 씁니다.
         -
    일시 : 1997년 8월 5일 오전 10시

    (3) 저자명 다음에 저서명을 적을 때에 씁니다.
         -
    정약용 : 목민심서, 경세유표

    (4) 시(時)와 분(分), 장(章)과 절(節) 등을 구별할 때나, 둘 이상을 대비할 때에 씁니다.
         -
    오전 10 : 30 (오전 10시 30분), 요한 3 : 16 (요한복음 3장 16절),  대비 55 : 65 (55 대 65)
     

    ♣ 문장 부호 [쉼표(休止符) - 빗금(/) ]   

    쉼표(休止符) - 빗금(/)은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대응, 대립되거나 대등한 것을 함께 보이는 단어와 구, 절 사이에 씁니다.
         -
    남궁진 / 남궁 진    백칠십육 원 / 176원    착한 사람 / 악한 사람

    (2) 분수를 나타낼 때에 쓰기도 합니다.
         - 2 / 4 분기
        4 / 5 
     

    ♣ 문장 부호 [따옴표(引用符) - 큰따옴표(" ")]   

    따옴표(引用符) - 큰따옴표(" ")는 대화, 인용, 특별 어구 따위를 나타냅니다.

    (1)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에 씁니다.
         - "박물관에 간 적이 있니?"
        "응, 지난 겨울 방학 때 갔었어."

    (2) 남의 말을 인용할 경우에 씁니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한 학자가 있다.

    ☞ 가로쓰기에는 큰따옴표(" "), 세로쓰기에는 겹낫표(『 )) 를 씁니다.
     

    ♣ 문장 부호 [따옴표(引用符) - 작은따옴표(' ')]  

    따옴표(引用符) - 작은따옴표(' ')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이 들어 있을 때에 씁니다.
         - "여러분!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는 말을 잊지 마십시오."

    (2) 마음 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에 씁니다.
         - '만약 내가 미국으로 간다면 모두들 깜짝 놀라겠지.'

    ☞ 문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쓰기도 합니다.
        -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다.
    ☞ 가로쓰기에는 작은따옴표(' '), 세로쓰기에는 낫표(「 )) 를 씁니다.  
     

    ♣ 문장 부호 [묶음표(括弧符) - 소괄호(( ))]  

    묶음표(括弧符) - 소괄호(( ))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원어, 연대, 주석, 설명 등을 넣을 때에 씁니다.
         -
    커피(coffee)는 기호 식품이다.
         -
    3·1운동(1919) 당시 나는 15세였다.
         -
    「무정(無情)」은 춘원(6·25때 납북)의 작품이다.
         -
    니체(독일의 철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2) 특히 기호 또는 기호 구실을 하는 문자, 단어, 구에 씁니다.
         - (1) 서술어
         (ㄱ) 동사    (가) 음성에 관한 것

    (3) 빈자리임을 나타낼 때에 씁니다.
         -
    우리 나라의 수도는 (    )이다. 
     

    ♣ 문장 부호 [묶음표(括弧符) - 중괄호({ })]   

    묶음표(括弧符) - 중괄호({ })는 여러 단위를 동등하게 묶어서 보일 때에 씁니다.

        - 주격 조사 { 이 }
                          { 가 }
     

     ♣ 문장 부호 [묶음표(括弧符) - 대괄호(〔 〕)]   

    묶음표(括弧符) - 대괄호(〔 〕)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묶음표 안의 말이 바깥 말과 음이 다를 때에 씁니다.
          -
    나이〔年歲〕    낱말〔單語〕    손발〔手足〕

    (2) 묶음표 안에 또 묶음표가 있을 때에 씁니다.
         -
    명령의 불확실〔단호(斷乎)하지 못함〕은 복종의 불확실〔모호(模糊)함〕을 낳는다. 
     

    ♣ 문장 부호 [묶음표(括弧符) - 꺽쇠(「 」)]   

    묶음표(括弧符) - 꺽쇠(「 ))는 가로쓰기 조판에서 주로 책이름을 표시할 때에 씁니다. 
     

    ♣ 문장 부호 [이음표(連結符) - 줄표(-)]   

      이음표(連結符) - 줄표(-)는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냅니다.

    (1) 문장 중간에 앞의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냅니다.
         *
    그 애는 네 살에-보통 아이 같으면 한글도 모를 나이에-벌써 시를 지었다.

    (2) 앞의 말을 정정 또는 변명하는 말이 이어질 때에 씁니다.
         *
    어머님께 말했다가-아니, 말씀드렸다가-꾸중만 들었다.
         *
    이건 내 것이니까-아니,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까-절대로 양보할 수가 없습니다.
     

    ♣ 문장 부호 [이음표(連結符) - 붙임표(­)]  

    이음표(連結符) - 붙임표(­)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사전, 논문 등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때에, 또는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낼 때에 씁니다.
          *
    겨울­나그네    불­구경    손­발    휘­날리다    슬기­롭다    ­(으)ㄹ걸

    (2) 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결합되는 경우를 보일 때에 씁니다.
          *
    나일론­실    디­장조    빛­에너지    염화­칼륨

    (3) 문장의 한 성분이 동등한 두 개 이상의 단위로 구성되었을 때 그 사이에 씁니다.
         *
    그것은 경험­분석적인 제 과학의 결과로 생긴 이론이다. 
     

    ♣ 문장 부호 [이음표(連結符) - 물결표(∼)]   

    이음표(連結符) - 물결표(∼)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내지'라는 뜻에 씁니다.
          9월 15일 ∼ 9월 25일

    (2) 어떤 말의 앞이나 뒤에 들어갈 말 대신 씁니다.
          
    새마을 : ∼운동    ∼노래
          
    -가(家) : 음악∼    미술∼ 
     

    ♣ 문장 부호 [드러냄표(顯在符) - 드러냄표(˙˙˙)]   

     드러냄표(顯在符) - 드러냄표(˙˙˙)는 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에 씁니다.

    (1) '내지'라는 뜻에 씁니다.
         
                                .   .    .   .
         한글의 본 이름은
      훈 민 정 음 이다.
                               .   .   .    .                  .   .   .     .   .   .
         
    중요한 것은   왜 사 느 냐 가 아니라  어 떻 게  사 느 냐 이다.

    ☞ 드러냄표 대신 밑줄(    )을 치기도 합니다.
        
    다음 보기에서 (동사)가 아닌 것은? 
     

    ♣ 문장 부호 [안드러냄표(潛在符) - 숨김표(××, OO)]   

    안드러냄표(潛在符) - 숨김표(××, OO)는 알면서도 고의로 드러내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1) 금기어나 비속어의 경우, 그 글자의 수효만큼 씁니다.
         -
    배운 사람 입에서 어찌 OOO란 말이 나올 수 있느냐?/
         -
    그 말을 듣는 순간 ×××란 말이 목구멍까지 치밀었다.

    (2) 비밀을 유지할 사항일 경우, 그 글자의 수효만큼 씁니다.
         -
    육군 OO부대 OOO명이 작전에 참가하였다.
         -
    그 모임의 참석자는 김××씨, 정××씨 등 5명이었다. 
     

    ♣ 문장 부호 [안드러냄표(潛在符) - 빠짐표(□)]   

    안드러냄표(潛在符) - 빠짐표(□)는 글자의 자리를 비워 둠을 나타냅니다.

    (1) 옛 비문이나 서적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에 그 글자의 수효만큼 씁니다.
         -
    大師爲法主□□賴之大□ (옛 비문)

    (2)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에 씁니다.
         -
    훈민정음의 초성 중에서 아음(牙音)은 □□□의 석 자다. 
     

    ♣ 문장 부호 [안드러냄표(潛在符) - 줄임표(……) ]

    안드러냄표(潛在符) - 줄임표(……) 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할 말을 줄였을 때에 씁니다.
          - "어디 나하고 한 번……." 하고 철수가 나섰다.

    (2)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에 씁니다.
          - "빨리 말해!"
          -  
    "……."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