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샘터 - 팍팍한 삶, 잠시 쉬어 가는 공간
대나무는 한겨울에도 초록빛을 잃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정정하던 댓잎들은 5월이 되면 색깔이 바래다가 결국 시들어버립니다.
5월 어느 아침, 대밭에 가보면 시든 잎들이 떨어져 수북하게 쌓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추운 겨울에도 그렇게 정정하게 보낸 댓잎이 5월에 시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대나무를 키워본 경험에 의하면 아마도 '죽순(竹筍)을 키우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봄비가 내린 후 눈에 띄게 쑥쑥 자라는 죽순. 대나무는 그 죽순을 키우느라 잎을 희생시킵니다.
죽순이 다 자라고 나면 대나무는 다시 싱싱한 새 잎을 틔웁니다.
죽순을 키우느라 누렇게 시들어가는 대나무를 보면서 '생명을 키우는 것이 모두 저렇구나.'하고 느꼈습니다. 자신이 지닌 것을. 덜어내거나 모두 내주면서 새 생명을 키우는 존재들.
그 존재들은 새 생명을 키우는 동안 시들어가고 볼품없어집니다. 때론 목숨을 내놓기도 합니다.
세상의 모든 어머니가 그러하듯이.
대가를 치르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음을 대나무에게서 배웁니다.
글 출처 : 나를 격려하는 하루(김미라 : 나무생각) 中에서......
Love Story / Giovanne Marradi
며칠 전 딸아이의 집을 다녀 왔습니다.
자식을 키우느라고 이제는 '어머니'가 다 되어버린 딸의 모습을 보면서
뿌듯함 보다는 안쓰러운 마음이 먼저 들었던 것은 어버이의 마음이겠지요.
그렇게 세상의 '어린 것'들은 어미의 자양분을 빼앗으면서 자라는 것이 이치인가 봅니다.